본문 바로가기

시문/외국시

브레히트, 피난민 W.B.의 자결

피난민 W. B.의 자결

 

 

                                 베르톨트 브레히트

 

 

나는 듣네도살자가 오기 전에 미리

자네 손으로 자네를 쳤다는 소식을.

 

8년간 추방된 채적의 승승장구를 지켜보다가

끝내 넘을 수 없는 경계까지 내몰린

자네넘을 수 있는 경계를 넘고 말았네 그려.

 

나라들이 무너진다갱단의 두목들이

정치인들처럼 이리로 걸어온다인민들은

더 이상 무장을 갖추지 않았다.

 

그리하여 미래는 암흑 속에 있고, 선한 힘들은

약하다. 이 모든 것을 자네가 봤구먼,

자네가 고통스러워하는 몸을 파괴했을 때 말이야.

 

 

Zum Freitod des Flüchtlings W. B.

 

 

                                         Bertol Brecht

 

 

Ich höre, daß du die Hand gegen dich erhoben hast

Dem Schlächter zuvorkommend.

 

Acht Jahre verbannt, den Aufstieg des Feindes beobachtend

Zuletzt an eine unüberschreitbare Grenze getrieben

Hast du, heißt es, eine überschreitbare überschritten.

 

Reiche stürzen. Die Bandenführer

Schreiten daher wie Staatsmänner. Die Völker

Sieht man nicht mehr unter den Rüstungen.

 

So liegt die Zukunft in Finsternis, und die guten Kräfte

Sind schwach. All das sahst du

Als du den quälbaren Leib zerstörtest.

 

 

이 시는 브레히트가 1941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도착한 후 발터 벤야민의 죽음 소식을 듣고 쓴 시이다. 벤야민의 처지가 '망명자'나 '도망자'보다는, 말 그대로 난을 피해 몸을 피하고 있던 중 아니었던가 싶어서 '피난민'이라 옮겼고, '자살'에 좀더 주체적인 뉘앙스를 담고 싶어 '자결'이라고 옮겨보았다.

 

발터 벤야민은 1940926일에서 27일로 넘어가는 밤에 스페인으로 넘어가는 국경 피레네 산맥의 작은 지역 포르 부(Port-Bou)에서 자살을 했다. 이 마지막 순간과 관련하여 마샬 버먼이 쓴 글 일부를 적어놓는다.

 

이 사건은 20세기에 있었던 전형적인 비극적 일화들 가운데 하나다. 특히 벤야민을 찬양하고 추모하는 사람들에게는 벤야민이 그 일화 속 주인공이라는 사실이 무척 중요하다. 역사상 가장 사악한 정권의 희생자였지만, 오히려 기선을 제압했기 때문이다. 어쩌면 벤야민이 자기 자신에게 선제공격을 가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지도 모르겠다. 생애를 대부분 과소평가 받은 벤야민은 죽음을 통해 히트곡 차트에 이름을 올린 셈이 되었다. 포르 부의 기념비에는 벤야민의 마지막 저작 가운데 하나인 <역사철학테제> 중 한 문장이 새겨져 있다. '유명한 자보다 이름 없는 자를 추모하는 것이 더 어렵다. 역사적 해석은 이름 없는 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것이다.'”[**버먼이 인용하고 있는 문장이 <역사철학테제> 어디에 나오는 말인지 모르겠다.]